주다훤 블로그

훤다 블로그

Cursor에게 MCP 쥐어주기

Cursor에 Figma-Context-MCP 쥐어주기
Project82025.07.27
Cursor에게 MCP 쥐어주기

요즘 HOT한 MCP

요즘 동료들과 AI 관련 이야기를 나눌 때마다 나오는 키워드가 있습니다.

'MCP를 이용해서 생산성이 2~3배 높였어요!', 'MCP 이거 완전 물건이네요!' 등 MCP를 안 쓰면 급변하는 시대에 뒤쳐지는 기분이 들기까지 합니다.

MCP가 뭐지?

MCP란 Model Context Protocol의 줄임말로, LLM에 컨텍스트를 제공하는 방식을 표준화하는 프로토콜

다른 말로, 다양한 AI 모델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표준이라 볼 수 있습니다.

클로드(Claude)를 제작한 Anthropic사에서 만든 프로토콜으로, 클로드 데스크탑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그런데, 이미 이전에도 각 AI 모델은 pdf 분석, 동영상 분석, 그림 제작 등 여러 가지 업무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. 왜 이제 와서 MCP 라는 것에 사람들이 열광을 하는 걸까요?

왜 HOT해?

1. 모델 업데이트의 한계

2. 외부 데이터 연동 표준의 부재

3. 동적, 상황 맞춤형 처리 요구 증가

결국

이 전에까지는 AI 모델에게 외부 시스템이나 데이터 소스를 편하게 제공하기가 어려웠습니다. 제작사마다, 모델마다 제각기 다른 방식으로 덕지덕지 붙여서 일을 수행하게 했죠.

MCP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.

내가 쓰는 LLM을 내 마음대로 MCP 표준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커스텀하고, 내가 원하는 기능을 만들어서 AI의 손에 쥐어줄 수 있는 것이죠.

마치 레고블록처럼 말이죠!

MCP 쥐어주기

현재 (제가 잘 사용하고 있는) VScode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IDE인 Cursor에서 MCP를 쉽게 쥐어줄 수 있습니다.

저는 현재 회사에서 프론트 개발을 맡고 있지만 기획과 디자인을 일부 참여하고 있습니다. 그래서 Figma 툴을 자주 사용하는데요, 이 툴에서 작업한 내용을 코드로 퍼블리싱을 더 쉽게 진행해보고자 Figma-Context-MCP를 도입해 보았습니다.

(Figma로 디자인한 파일을 AI가 분석하고, 이를 코드로 변환하는 작업 자동화)

1. Figma에서 Access Token 발행하기

  1. Figma에서 로그인 후 Settings 탭으로 이동합니다.

2. Figma-Context-MCP SSE 스트림 연결하기

  1. Figma-Context-MCP 오픈소스 저장소로 이동합니다. MCP
  2. Fork한 뒤 npm i, npm run dev 명령어를 실행합니다. MCP

참고하기

3. Cursor에 MCP 서버 연결하기

  1. Cursor에 MCP 서버 연결
    1. Ctrl + Shift + J 클릭해서 Setting 에서 MCP 탭에 들어간 뒤 [Add new global MCP server] 추가 MCP
{
  "mcpServers": {
    "Framelink Figma MCP": {
      "url": "http://localhost:3333/sse",
      "env": {
        "FIGMA_API_KEY": "figd_로 시작하는 나의 토큰값"
      }
    }
  }
}

MCP

4. 즐기기

이제 Figma에서 작업한 내용을 코드로 변환해보겠습니다.

참고 링크